이번에 조던 피터슨과 한 스트리머가 코로나 백신에 대해 토론하는 영상을 재밌게 보았다.
벌써 예전 일이고 영상도 작년에 업로드 되었지만 그때의 상황을 지금에 와서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게 되었다.
📊 유럽의 초과 사망 증가
- 초과 사망: 유럽에서 초과 사망률이 약 20% 증가하며 코로나 이후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.
- 우크라이나 전쟁 제외: 이러한 초과 사망은 우크라이나 전쟁과는 관련이 없다고 언급됨.
💊 백신의 영향 및 이야기
- 백신 접종이 초과 사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하며, 이는 미비한 테스트와 임상 실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함.
- 의료 시스템의 혼란, 암 치료 지연, 그리고 우울증 및 자살 증가 등이 초과 사망에 기여하는 다른 요인으로 제기됨.
⚕️ 의학적 데이터 분석
- 백신이 심근염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음. 젊은층에서의 백신 접종률과 심근염 발생 연관성을 지적.
- 정부 및 대중의 도입된 백신 의무화에 대한 문제 제기, 이는 자유의 침해로 볼 수 있음.
🏥 의료 산업 목소리
- 제약 회사와의 관계에 대한 경고, 부패 위험성과 대규모 백신 접종의 정당성 문제 제기.
- 백신의 효능에 대한 의문과 함께, 상대적으로 높은 자살 및 우울증 등 정신적 건강 문제 언급.
📉 mRNA 기술과 상관관계
- mRNA 백신에 대한 설명 및 기존 백신과의 기술적 차이 강조, 그러나 새로운 백신이 안전성과 검증이 부족하다는 주장이 제기됨.
- 급진적 질적 도약으로서의 mRNA 기술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지만, 대규모 접종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존재함.
⚖️ 결론 및 제안
- 초과 사망과 백신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신중한 조사가 필요하며, 의료 시스템의 혼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중요함.
- 정치적 및 사회적 맥락에서의 백신 정책에 대한 논의는 지속될 필요가 있음.
그때 왜 맞았지라며 후회하는 사람들이 많은데, 당시에는 아무래도 패닉상황이다 보니 다들 급하게 맞을 수 밖에 없지 않았나 싶다.
초반엔 서로 먼저 맞겠다고 매크로까지 돌려가면서 선예약 했던거로 기억하는데
그만큼 백신에 대한 브랜드 파워가 대단했었지만
지금에 와서는 백신에 대한 불신, 공포들이 이 코로나 백신으로 인해 자리잡게 된 것 같다.
'인사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학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? | 조던 피터슨 (0) | 2025.01.23 |
---|---|
왜 만족하기 힘들까? | 조던 피터슨 (0) | 2025.01.23 |
짜증나는 연인과 헤어지고 싶은가요? | 결혼을 하는 이유 (0) | 2025.01.23 |
싸이코 패스의 특징 | 조던 피터슨 (0) | 2025.01.22 |
조던 피터슨(하버드 교수)와 일론 머스크의 대화 (0) | 2025.01.22 |